워드프레스 3.4.1 버전 업데이트 후,

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 네트워크의 메인 사이트에는 포스트 주소에 “/blog/” 가 붙어버렸습니다.

서브 도메인 형식이 아닌 서브 디렉토리 형식의 멀티 사이트의 경우 네트워크 내의 서브사이트와 고유주소가 겹치는 것을 막기 위한 수정이죠.

고유주소의 충돌로 인한 장애를 막을 수 있어 좋은 패치라지만, 주소가 한 단계 늘어나다 보니 영 걸리적거리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. 게다가 slug(고유주소) 기반의 테마나 플러그인의 작동이 안되는 경우도 종종 생기게 되었습니다.  잘 하시는 분들은 수정도 척척 하시겠지만요, 😉 간단한 방법이 있을 겁니다. 또한 워드프레스 코어 파일을 수정하는 것은 최대한 피해야 하는 일이기도 합니다.

그래서 간단한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.


 

먼저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고유주소  설정을 기본(default)로 바꾸는 것이 있습니다.

 

관리자 메뉴 > 설정 > 고유주소 에서 맨 위에 있는 기본 모양을 선택하고 저장하면 끝입니다.
간단하죠? 이 방법으로 설정하면 모든 포스트의 주소가 “http://helloweb.co.kr/?p=123” 과 같은 형태로 보입니다.(123 자리에 각 포스트의 ID 값이 들어갑니다.) 또한 페이지의 주소는  “http://helloweb.co.kr/?page_id=123”, 카테고리의 주소는 “http://helloweb.co.kr/?cat=4”  의 형태가 됩니다.

‘짧아서 좋다!’ 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여기까지만 읽으시면 됩니다. 🙂





워드프레스 코덱스에서  Using Permalinks 라는 주제의 문서를 보면 default 설정을 다음과 같이  표현하고 있습니다.

 😈  Default: “Ugly”      

보기 싫다 이거죠…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아 보았습니다.


 

많이 이용하시는 방법 중 하나인 “http://helloweb.co.kr/카테고리명/포스트제목”을 설정해 보겠습니다.


사용자 정의 구조에 넣을 태그는 “/%category%/%postname%/”입니다. 하지만  관리자 메뉴 > 설정 > 고유주소으로 가서 사용자 정의 구조에 이 태그를 넣으면 앞의 “blog”가 출력됩니다. 그래서 일단 여기에서는 앞에 아무 것도 없는 “기본(default)”을 선택하고 저장합니다.

그리고 네트워크 관리자(http://helloweb.co.kr/wp-admin/network/) 로 이동합니다. 관리자 메뉴의 사이트 > 모든 사이트 로 이동하여 맨 윗 줄에 있는 메인 사이트를 선택합니다. (루트폴더에  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면 ‘/’ 입니다.) 상단의 메뉴중 “설정” 탭을 클릭하면 메인 사이트의 설정화면이 나타납니다. 조금 내려가다 보면 “Permalink Structure” 가 나옵니다. 아까 메인 사이트에서  “기본(default)”을 설정하였으므로  “Permalink Structure”  옆에는 빈 칸이 있습니다. 빈 칸에 “/%category%/%postname%/” 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. 😉 (큰 따옴표는 빼고 써 주세요!)  



그런데, 워드프레스 코덱스에서 예쁘다고 하는 주소 – “Pretty Permalinks” 란…?

“http://helloweb.co.kr/년/포스트제목/” , 혹은 “http://helloweb.co.kr/년/월/일/포스트제목/”


↑ 이런 주소가 예쁘다고 하네요. 🙄

어쨌든 이 주소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설정이므로 알아보겠습니다. 😀 고유주소 설정용 태그는 “%year%/%postname%”, 혹은 “%year%/%monthnum%/%day%/%postname%” 이 되겠습니다.

“http://helloweb.co.kr/카테고리명/포스트제목” 의 설정방법과 같이 메인 사이트의 관리자 메뉴 > 설정 > 고유주소으로 가서 “기본(default)”을 선택하고 저장합니다. 그리고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관리자(http://helloweb.co.kr/wp-admin/network/) – 관리자 메뉴의 사이트 > 모든 사이트 로 이동하여 맨 윗 줄에 있는 메인 사이트를 선택합니다. “설정” 탭을 클릭하여 “Permalink Structure” 란에 “%year%/%postname%“, 혹은 “%year%/%monthnum%/%day%/%postname%“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.




단 두 번째와 세 번째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.

  • 아파치 웹서버에서 mod_rewrite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중이어야 합니다.
  • Microsoft IIS 7+ 웹서버의 경우 URL Rewrite 1.1+ 모듈 및 FastCGI 지원되는 PHP 5
  • Microsoft IIS 6+ 의 경우, ASAPI_Rewrite, 또는 Ionic ISAPI Rewriting Filter (IIRF) 지원






댓글 남기기